본문 바로가기

미생물학(microbiology)14

chapter 05. 소독, 멸균 및 화학요법 01. 소독, 멸균 및 화학요법의 개요 - 미생물 감염을 예방하거나 관리할때는 3가지 기본적 접근법 1) 세균의 병원성을 파괴하거나 관리 2) 전염원의 제거나 전염경로를 차단 3) 예방 접종, 항균제 치료 등에 의한 감염병의 예방과 증상의 경감 - 용어의 개념 1) 멸균 : 어떠한 물질이나 사물에 있는 모든 미생물들을 사멸시키거나 아포까지 제거하는 것 2) 소독 : 아포를 제외한 병원미생물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약화시켜 감염의 위험을 제거하는 것 3) 소독제 : 미생물의 사멸을 위해 무성물에 사용되는 화학제로서 대부분 소독제는 아포형성 세균을 사멸하지 못함 4) 정균작용제 :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약품 5) 살균제 : 세균을 사멸시키는 약품(약품 대부분 아포를 사멸시키지 못함) 02. 소독과 멸균 1) .. 2023. 8. 3.
chapter 04. 감염병과 역학 01. 병원성의 결정인자 용어설명 - 감염 : 미생물이 숙주 내로 침입하여 증식하는 상태로 숙주와 기생생물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질병의 일종. - 감염병 : 미생물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되는 질병. - 병원성(발병성) : 세균이 숙주에 침입하여 조직에 정착, 증식, 독소생산 등으로 숙주의 조직이나 세포를 파괴하는 능력이며 독력, 전염성, 침습성, 증식성 및 독소 생산성의 종합적 표현 - 독력(균력, 발병력) : 병원체가 감염병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의 정도로 발병의 양적 개념이 포함된 것. 정착성, 침습성, 전염성, 증식성, 독소 생산성 과 같은 결정 인자가 있음. 1) 정착성 : 생체에 부착하는 정착인자 (1) 섬모 : 대부분의 세균이 가진 폭 3 ~ 8nm의 가느다란 숙주세포에 대한 부착소 .. 2023. 8. 2.
chapter 03. 세균의 형태와 구조 01. 세균의 형태 알균(구균, coccus), 막대균(간균, bacillus), 나선균(spirillum) 3가지 기본형을 분류하며 구조와 형태는 염색없이 관찰할 수 있으나, 대부분 염색을 해야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 1) 알균(구균, coccus) 여러 가지 구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음, 대부분 그람 양성균이고, 폐렴쌍알균을 제외한 대부분의 쌍알균은 그람 음성균으로 균배열의 트징으로 균종을 감별함. 병원성을 지닌 알균은 감염되면 염증, 화농을 일으키고 각종 항생물질을 사영하면 치료효과 보임 (1) 단알균(monococcus) : 알균 하나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 (2) 쌍알균(diplococcus) : 두 개씩 쌍쌍이 배열되어 있고 대표적으로 수막염균, 임균, 폐렴알균 등 예외) 폐렴쌍알균(연쇄상구균.. 2023. 7. 31.
chapter 02. 미생물의 분류 01. 개요 1) 분류 생물이 갖고 있는 생물학적, 생리학정 특성 등을 조사하여 그 특성이 같은 개체들끼리 모아서 하나의 집단을 만드는 것 2) 명명법(nomenclature) 분류된 종에 적절한 이름을 부여하는 것에 따르는 규칙 3) 동정(identification) 분류된 미생물의 종(species)을 분류 체계 내의 미생물의 성상과 일치하는 적당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 4) 분류학의 목적 생물 상호간의 유연관계와 진화의 계통을 밝히는 것 02. 분류 방법 1) 분류계급 Kingdom(계) Phylum(문) Class(강) Order(목) Family(과) Genus(속) Species(종) - 7단계로 구성됨 - 종(Species) : 분류 계급에서 기본단위 - 예시 : 사람_ Homo(속), sap.. 2023.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