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생물학(microbiology)14

chapter 13. 면역학 - 면역 : 체내에 침입하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등을 저지한느 방벽을 만들고 유지함으로써 생체를 방어하는 기전이다. - 면역글로불린 : 항체라는 이름은 항원에 결합한다고 하는 기능을 중시한 것으로, 물질로서는 면역글로불린이라고 한다. 모든 항체는 면역글로불린이며, 혈청 중의 감마 글로불린에 해당한다. - 탐식세포 : 미생물 등의 이물질을 탐식하여 처리하고 살균하는 세포 - 옵소닌화 : 항체나 보체 등으로 병원체나 이물질을 둘러싸고 탐식 촉진하는 작용 - 사이토카인 : 면역계통의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표적세포가 특정되어 있지 않은 정보전달을 하는 것을 말한다. 많은 종류가 있는데 특히, 면역, 염증에 관계된 것이 많다. 또 세포의 증식, 분화, 세포사 또는 상처 치유등에 관여하는 것이 있다. - 알.. 2023. 8. 12.
chapter 12. 식품 및 물 매개 위장관 감염병 I. 개요 (1) 위산 : pH 2 ~ 3 낮은 산성으로 소화관으로 들어오는 병원균이 산성에서 견디지 못하여 대부분 미생물은 사멸함 (2) 소장의 담즙과 소화효소 : 알칼리성으로 살아남은 미생물 수를 감소함 (3) 장관 점막 : 병원 미생물이 장의 내벽에 붙지 못하게 하여 장관의 감염 제한 (4) 장관의 정상균 무리는 병원균의 침입에 대항하여 숙주 보호, 장관 점액은 침입한 병원균을 감지하는 항체를 만드는 형질세포 있음 (5) 소화기계 질병 감염 경로 : 오염된 식품이나 물에 의해 감염 (6) 소화기계 감염증 발생 기전 - 독소형 식중독 : 식품에서 증식하는 병원 미생물이 생산한 독소 섭취로 질병 발생 - 감염형 식중독 : 침투된 병원균이 소화관을 통과하여 장관의 많은 병원균의 감염지수(infectiou.. 2023. 8. 11.
chapter 11. 공기매개 호흡기 감염병 01. 개요 - 호흡기는 공기가 체내에 매일 10,000 ~ 20,000L 정도 통과함으로 병원균 침입경로가 되어 수없이 많은 미생물에 노출됨 - 공기매개 호흡기감염 :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병원 미생물에 감염된 사람으로 부터 배출되는 비말에 감수성 있는 사람에게 옮겨질 때 나타남 - 상부 호흡기의 정상균 무리는 나선균, 그람양성막대균, Streptococcus, Staphylococcus, Moraxella, Neisseria, Haemophilus, Bacteroides 등이 포함됨 - 하부 호흡기는 대식세포가 많아 건강한 사람은 미생물의 침입을 받아도 감염이 거의 일어나지 않음 02. 공기매개 바이러스 감염병 1) 신종 인플루엔자 (1) 병원체 및 감염 경로 :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일종(.. 2023. 8. 10.
chapter 10. 성매개 감염병 01. 개요 * 성매개 감염병 : 성적 접촉을 통해서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사람이라는 숙주를 통해서만 전파함 (1) 주요 침입 경로 : 생식기, 항문, 인두 표면으로 성인과 청소년에게 발생, 어린이의 경우 성인과의 밀접한 접촉을 통해서 전염되고 유아의 경우 출생시 감염됨 (2) 성병 종류 및 특징 : 매독, 임질, 연성하감, 서혜부 림프육아종, 비임군성요도염, 성병성 림프육아종 등으로 침입부위에 접한 조직에 급성 또는 만성 감염을 일으킴 (3) 감염된 모체에서 출생하는 태아에게는 자궁 내 감염이 심각하거나 치명적임. (4) AIDS는 성접촉 뿐만 아니라 HIV에 감염된 혈액으로 전파 (5) 예방 : 성 접촉으로 전파되는 감염병을 예방하는 백신은 아직 개발되지는 않았음 감염경로 특이사항 질환 세균 병원체 매.. 2023.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