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생물학(microbiology)

chapter 06. 병원 세균학

by jim hawk 2023. 8. 5.

01. 그람양성알균

1) 활색포도상구균(황색포도알균) : 포도송이 모양으로 배열되는 그람양성알균 화농성의 광범위한 감염을 일으킴

 

 (1) 특징 : 피부,호흡기도 및 위장관 상재균으로 피부와 점막, 비강 등 상재 정상인의 변에서 분리, 40 ~ 50 % 건강인의 비강에서 검출되는 가장 흔한 병원성세균

 - 농가진, 농양이나 창상감염 등의 피부감염, 위장염(식중독), 폐렴, 독소쇼크증후군 등 원인균

 - 대부분 50 %에서 식중독 원인, 열에 안정한 장독소 생산 : 2 ~ 4 시간 내에 발열 없이 오심, 구토 및 설사 등의 증상 유발

 

 (2) 병원성 인자

   - 혈장응고효소 : 식세포 작용에서 세균을 보호할 수 있도록 혈액을 응고함

   - 혈구 사멸소 : 백혈구를 죽이는 세포 독소

   - 용혈소 : 시험관 내에서 적혈구를 용혈시키는 백혈구의 독성 물질

 

 (3) 진단: 그람 염색과 혈액우무배지에서 황금색의 집락을 형성하며 S.aureus는 coagulase 양성 (+), S.epidermidis (표피 포도알균)는  coagulase 음성 (-)

 

 (4) 치료 

   - Penicillin 감수성 균주 : penicillin G 사용(약 85%가 penicillin G에 내성)

   - penicillin 내성 균주 : methicillin(lactamase-resistant penicillin) 사용

   - beta-lactam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 : Vancomycin 사용

 

 (5) 예방 : 백신이나 약제는 유용하지 못하고 손을 세척함으로써 확산 감소

   - 환자가 사용한 각종 기구 등은 철저히 소독이나 멸균 실시

   -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식중독 예방 위해 식품 제조업 종사자에 예방 교육 필요

 

 

2) 마이크로코쿠스

 - 특징 : 토양이나 수중에 존재하며 포도당을 발효시키는 피부의 정상균 무리이고 그람양성 알균으로 드물게 기회 감염 원인이 됨

균종 병원성 감염병
S. aureus 화농성 염증, 식중독
S. epidermidis 여드름, 기회감염
S. saprophyticus 비뇨기 감염, 기회 감염
S. haemolyticus 드물다
S. lugdunenesis 드물다

 

 

3) 화농성연쇄상구균

 (1) 특징 : 사슬모양의 그람양성 알균으로 완전 용혈과 catalase 음성, 조건적 무산소성 알균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인체의 인후와 피부와 호흡기 연무질을 통해 감염되며 인두염과 농가진은 가장 흔한 사슬알균 감염

 

 (3) 병원성 : A군 사슬알균 감염은 주로 인두에 발생하며 인두염 봉와직염(화농성 감염병), 류마티스열, 급성 신우신염(비화농성 감염병)을 일으킴

 - S. pneumoniae : 대부분 건강한 사람의 호흡기관 상부에 존재

 - S. pyogenes : 농가진과 사슬알균성 인두염 원인균으로 숙주의 고분자을 파괴시키는 세포외 효소와 응혈을 용해시키는 숙주인자를 활성화한느 효소(스트렙토키나아제) 생산

 - 발적 독소 :  A군은 성홍열을 일으키며 증상은 거의 전신에 발진 유발

 - 사슬알균성 인두염 : 사슬알균성 속발성 사구체신염, 류마티스열의 동반으로 심장비대와 일시적인 관절염이 특징 동반함

 - 사슬알균성 감염벙의 특징 : 농양 형성에 관여하는 스트렙토리신O와 스트렙토리신S의 세포독소 생산

 

 (4) 검사실진단:  사슬모양의 그람양성알균, 혈액우무배지에서 완전용혈성 집락형성(용혈은 streptolysin O/S 때문)

  - 바시트라신 감수성 : S.pyogenes로 추성

  - 류마티스열 의심의 경우 : S.pyogenes에 노출된 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환자의 혈청으로 antistreptolysin O(ASO) 항체역가 시험 실시

 

 (5) 치료 : 주로 페니실린이나 세팔로스포린 사용

 

 

4) 장알균(장구균, Enterococcus faecalis : Group D streptococcus)

 (1) 특징 : 그람양성알균 짧은 사슬배열로 주로 사람의 장관과 비뇨생식계에 상재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인체의 결장이며 요도와 여성의 생식기에 병소를 형성함

   - 소화기계와 생식기계 수술 중에 혈류를 통한 심내막염 발병

 

 (3) 병원성 : 비교적 독성이 약하며 건강인은 쉽게 감염을 일으키지 않음

  

 (4) 검사실진단 : 비뇨기계와 담관계 감염이 가장 흔함. 그람역색과 배양 실시하며 혈액우무배지에서 alpha(부분) 또는 beta(완전) 용혈. 6.5 % NaCl에서 성장하고, 40 % 담즙의 존재하에서 esculin을 가수분해하여 흑갈색화

 

 (5) 치료 : cepham계 항생물질 내성, 페니실린에도 내성이 다른 사슬알균과 구분

   - 페니실린과 겐타마이신 같은 aminoglycoside를 함께 투약하면 상승작용(Aminoglycoside는 세균 내부로 치투하는 능력이 없어 penicillin으로 세포벽을 약하게 한후에 사용한다)

 

 (6) 예방 : 장과 비뇨기계 수술진행 전에 penicillin, gentamicin은 심장판막손상 환자 투여

 

 

5) 폐렴 알균(Streptococcus pneumoniae, Pneumococcus) : 인간의 전 연령층에서 이환 및 사망의 원인, 세균성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중이염, 수막역, 패혈증의 중요한 원인으로 가장 흔한 감염경로는 성인(폐렴과 수막염), 어린이(중이염과 부비강염)이 해당함

 

 (1) 특징 : 짧은 사슬 모양의 배열을 하는 그람양성알균으로 두꺼운 협막의 쌍알균

 

 (2) 서식처와 감염경로 : 인체의 상부 호흡기계이며, 호흡기비말감염을 일으킴

 

 (3) 병원성 협막 : 탐식작용을 방해하며, 면역성은 폐렴알균성 협막의 다당류에 특이하게 결합하는 항체를 생산함

  - 바이러스성 호흡기계 감염은 섬모물결작용을 손상함으로써 폐렴 알균성 폐렴을 일으키고, 비장 절제술은 패혈증을 일으킨다.

 

 (4) 검사실 진단: 그람염색과 배양, 혈액우무배지에서 부분 용혈성 집락, bile과 옵토킨에 의해 성장 억제, 협막팽화반응이 일어나며 척수액의 협막 항원에 대한 latex 응집 시험으로 진단.

* 협막팽화반응(Quellung reaction) : 협막 항원에 대한 항체로 인해 미생물의 협막이 뭇거나 더 잘 보이게 되는 현상

 

 (5) 치료 : penicillin G, penicillin 겹합 단백질에 의한 높은 수준의 저항성은 드물다.

 

 (6) 예방백신: 23개 혈청형의 협막 다당체가 들어있고 구강 penicillin은 면역이 약화된 어린이에게 사용

  A. PCV13(프레브날 백신/ Prevnar vaccine) 예방 접종 백신 : 2세 이하 영유아에게 0.5 cc IM 

  B. 23PS(23 valent pneumococcal polysaccaride) 예방 접종 백신 : 23 세균종의 폐렴연쇄구군 감염으로 인해 생기는 폐렴 연쇄구균성 감염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24 ~ 59개월 유아들에게 접종함

 

* 폐렴 알균 예방 백신으로 85개 이상의 다른 폐렴 알균의 항원형이 있으며, 하나의 항원형에 대한 면역성은 다른 항원형으로부터 숙주를 보호하지 못함

 

 

02. 그람 양성 막대균

 1) 탄저균(Bacillus antracis)

  (1) 특징 : 탄저균은 크고 아포를 형성하는 산소성 그람 양성막대균으로 협막을 형성하며 가축(양, 소, 말 등)의 감염병으로 인수공통감염병에 해당함

   - 침입문호에 따라 3가지 피부탄저, 장탄저, 폐탄저로 구분하며 사람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은 피부탄저가 해당함.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토양이며, 감염된 동물과 접촉하거나 동물의 털에서 아포를 흡입함으로써 감염됨

 

  (3) 병원성 : 탄저열 독소는 크게 3가지의 단백질 독소로 구성, adenylate cyclase(부종인자), 세포에 다른 2개의 구성 요소의 통로를 열어주며 활성 기전이 알려지지 않은 치명인자(방어항원), Polyglutamic acid로 구성 중요한 독력인자(협막)

 

  (4) 임상증상

     A. 장탄저 : 초기 구역, 구토, 발진, 이후 토혈, 혈변 등 나타나고 패혈증으로 사망

     B. 피부탄저 : 발열, 피로감, 두통 등이 동반되기도 하며 얼굴이나 목 부위의 가피, 구진, 궤양 등의 형성

     C. 폐탄저 : 마른 기침, 미열, 피로감 등의 증상과 함께 호흡 부전, 폐혈성 쇼크로 진행

 

  (5) 검사실 진단 : 탄저열 혈액우무배지에 배양하며, 다른 Bacillus species와 대조하여 비운동성, 간접 적혈구 응집시험에서 항체 역가 상승

 

 

  2)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e

 (1) 특징 : V자 또는 L자 모양의 배열을 하며 만곡된 그람양성막대균으로 산소성이며 아포를 형성하지 않고 한 세균이 한 종류의 염색법에 의해 서로 다르게 염색되는 이염소체 염색법으로 염색됨.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인체의 인후이며, 호흡 연무질을 통해 감염됨.

 

 (3) 병원성 : 사람에게 자연 감염되며 편도, 인두 또는 기도 점막이 침해되어 괴사하고, 회백색 위막 형성(유아와 소아에서는 위막에 의한 기도폐쇄 호흡곤란으로 사망하는 사례), 감염 국소에서 증식하여 이열성 디프테리아 독소를 생산하여 혈중으로 들어가면 전신적인 중독 증상

*이열성 : 가열하면 변성, 분해되는 것 100도씨 2시간, 50 % 알코올을 37 도씨에서 24시간의 작용으로 파괴됨.

 - 말초신경에 작용하여 마지막에 심근이 침해를 받앙 심장마비나 운동신경 마비에 의해 사망하는 경우가 있음.

 

 (4) 검사실 진단 : 그람염색과 배양, potassum tellurite 배지에서 흑색 집락 형성

  - 집락형 :  gravis(중증형), mitis(경증형), intermedius(중간형) 세 가지 형태 분류

 

 (5) 치료 : 말에서 만들어진 항독소가 독소 중화, penicillin G는 세균을 사멸시키며, penicillin에 대한 저항성은 없음

 

 (6) 예방 : DPT복합체 - 디프테리아(diphteriae), 파상풍독소(tetanus toxoid), 백일해(pertusis) 백신이 복합된 것을 투여함

 

* 시크검사(schick test) : 디프테리아 독소에 대한 항체가 있는지 없는지 검사하는 방법

 

 

03. 그람 음성알균

1) 수막염균(Neisseria meningitidis, Meningococcus)

 (1) 특징 : 강낭콩 모양의 그람음성 쌍알균으로 oxidase 양성이며, 큰 다당체 협막을 가짐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인체의 상부 호흡기계, 호흡기 비말 감염

 

 (3) 병원체 : 상부 호흡기에 집락 형성 후 혈류를 통해 수막에 도달, 세포벽에 있는 내독소는 패혈증과 쇼크를 일으키고 외독소는 없으며 IgA protease를 생산하고 협막은 항탐식 작용. 증상은 두통, 의식혼탁, 구토 등 주 증상.

 

 (4) 검사실 진단 : chocolate agar 에서 oxidase 양성 집락 형성, 임균과 달리 maltose를 발효함

 

 (5) 치료 : 항생제 내성 플라스미드가 있어 sulfonamide에 내성이 있음. 페니실린계열 항균제가 효과적이다.

 

 (6) 예방 : A, C, Y, W-135형 균주의 협막 다당체가 함유된 백신을 환자와 접촉한 사람에게 투여

 

 2) 임균(Neisseria gonorrhoeae, Gonococcus)

 (1) 특징 : 강낭콩 모양 그람 음성 쌍알균으로 환자의 백혈구에서 발견, oxidase 양성, 협막은 생체 내에서 체외로 나옴에 따라 소실되며 임질, 신상아 결막염과 골반 염증을 일으킴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이넻의 생식기계이며 성 접촉에 의해 감염

 

 (3) 병원성 : 세균은 점막으로 침투하여 염증을 일으키며 내독소가 있고 IgA protease와 섬모는 독력인자로 작용

 

* 임질은 생식기관의 영구 손상과 치유할 수 없는 불임유발 : 여성(임균성 난관염), 남성(임균성 부고환염) 유발

 

 (4) 검사실진단: 세균은 요도 삼출물의 호중구 내에서 쌍알균이 관찰됨

  - oxidase 양성으로 임균은 maltose를 분해하지 않음

 

 (5) 치료 페니실린 내성이 점차 증가

  - 추천치료법 : 경구로 프로베네시드를 투여한 직후 프로카인 페니실린 G 수용액 근육주사

 

 (6) 예방 : 신생아 결막염을 예방 위해 erythromycin 연고나 silver nitrate(AgNO3)를 신생아의 눈에 점안

 

* Neisseria meningitidis Neisseria gonorrhoeae와 관련된 감염병

균종 감염병
Neisseria meningitidis(수막염균) 수막염, 패혈증, 폐렴, 요도염, 관절염
Neisseira gonorrhoeae(임질균) 요도염, 자궁경관염, 난관염, 직장항문염, 패혈증, 관절염, 결막염

 

 

04. 마이코박테리아

 1)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 항산성균속(Mycobacterium), :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나병균(M. leprae) 제외한 균에 속함

 

(1) 특징 : 산소성, 항산성 막대균으로 세포벽에 많은 양의 지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지질에는 mycolic acid, was D, phosphate를 포함. 에탄올과 염산 혼합액으로 처리하였을 때 탈색되지 않아 항산성균(acid-fast bacilli ; AFB)이라고 함(중량의 50 %이상이 고분자량의 지질인 mycolic acid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인체의 폐, 기침 시 발생되는 비말 감염

 

(3) 병원성 : 사람이나 가축으로부터 얻은 우형 결핵균(M. bovis)에 의해서 야기됨.

 - 감염병의 초기 단계 :  마이코박테리아가 감염 부위에서 증식하다가 먼저 림프구와 대식 세포에 의해 둘러 싸여, 결절 구조를 형성함(이 단계에서 정지되지만 마이코 박테리아는 결절 속에 살아 남고 식균 작용에도 사멸되지 않음)

 - 재발성 결핵 : 마이코 박테리아 세포가 결절로 부터 빠져 나와 새로운 어느 기관 부위를 감염 시킴, 치명적임

 

(4) 검사실 진단 : Ziehl-Neelsen(또는 Kinyoun) 염색에서 항산성 막대균으로 나타나며 Lowenstein-Jensen 배지에서 서서히 성장(3 ~ 6주)하는 집락 형성

 

* PPD(purified protein derivative) 피부반응 검사(투베르콜린 검사,  tuberculin test)

: PPD를 0.1 mL 피내 접종 48 시간 후에 10mm 이하는 음성(-) 또는 그 이상의 겨화가 측정되면 양성(+)으로 판정하여 음성의 경우에만 예방접종을 실시함.

 

(5) 치료 : 경증의 폐결핵에는 isoniazid와 rifampin 또는 ethambutol 등 2가지 이상의 약제를 오랜 기간(6 ~ 9개월) 동안 투여하며 3가지의 약제 투여는 중증의 경우에만 사용. 결핵균은 대사활동이 느려 증식속도도 즈리므로 화학치료에 대한 반응이 짧아야 6개월 정도 대부분 9개월 이상 걸림.

 

(6) 예방 : BCG(bacillus of Calmette Guerin) 예방접종이 중요하며 결핵 감염 여부 검사- 투베르쿨린검사(tuberculin test)가 이용

 

2) 나병균(Mycobacterium leprae)

 (1) 특징 : 한센병의 원인균, 나병균 또는 한센균은 산소성이며 항산성 막대균으로 인공 배지에서 배양되지 않음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인체의 피부와 신경이며 오랜 기간의 접촉에 의해 감염됨

 

 (3) 병원성 : 한센병의 병소는 일반적으로 피부와 말초 신경 등 인체의 차가운 부위에 호발하며 피부는 대개 전신에 나결절이 생김

 - 결핵형 한센병(tuberculoid leprosy) : 괴사성 병소는 세균에 대한 세포면역 반응 때문에 발생한 손가락의 신경 손상이 감각 상실을 일으키기 때문에 화상과 다른 외상에 의해 나타날 수 있음

 - 나종형 한센병(lepromatous leprosy) : 세포면역반응은 나타나지 않고 병소와 혈액에서 많은 수의 세균을 발견함

 

(4) 검사실 진단 : 항산성 막대균은 나종형 한센병에서 많이 나타나고 결핵성 한센병에서는 드물며 Lepromin skin test결과 결핵형 한센병(+), 나종형 한센병(-)으로 나타남

 

(5) 치료 : Dapsone을 주로 사용, 최근 ROM(rifampin, ofloxacine, minocycline)과 클로파지만(clofaximine)을 이용함.

 

 

05. 장내세균과(Enterobacteriaceae)

 1) 장내세균(Escherichia coli, E-coli)

 

 (1) 특징 : 조건적 무산소성 그람 음성 박대균이며, lactose 발효성

 

 (2) 서식처와 감염경로 : 인체의 결장, 질과 요도에 집락을 형성하여 요도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비뇨기 감염, 출산 시에 신생아 수막염, 분변-구강경로를 통해 설사 유발

 

 (3) 병원성 : 장내세균은 음식과 물로 인한 식중독의 주요 원인체이며 가장 일반적인 균종은 Escherichia coli와 salmonella Typhi가 해당함.

  - 증상 : S.Typhi(7 ~ 48 시간), E. coli(1 ~ 4일) 시간 경과 후에 나타나며 복통, 설사가 주된 증상으로 구토와 발열이 일반적임

 - 대장균의 균주 : 장독소 생산 E. coli(enterotoxigenic E. coli : ETEC)균주라 부르고, 열에 불안정한 이열성독소나 열에 안정된 내열성 독소 생산. 세포벽의 내독소는 패혈성 쇼크를 일으키는 2개 장독소 생산

 - 내열성 독소와 이열성 독소는 물같은 설사를 유발함

 - 베로톡신 : O157:H7혈청형을 가진 E.coli 균주에 의해 생성되는 장독소를 생산하는 균(EHEC)으로 잘 익지 않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과 관련 출혈성 설사(혈변) 일으킨다.

 

(4) 분변 상재균: 여성에게 비뇨기 감염을 일으키기 쉬운 인자로 요도, 질과 항문의 거리가 근접하여 요도와 질에 집락 형성

 - 비뇨기 카테터와 혈관내 장치는 비뇨기 감염과 패혈증의 원인, 질에 존재하는 세균은 출산 시에 신생아 수막염 초래함

 

(5) 검사실 진단 : MacConkey 배지에서 lactose를 분해하여 적색 집락, EMB agar에서는 암녹색 광택 집락,O157:H7균주(sorbitol MacConkey agar에서 무색)

 

(6) 치료 : 비뇨기계 감염에는 ampicillin이나 sulfonamide 사용, 수막염과 패혈증은 제3세대 cephalosporin을 사용함

 

 (7) 예방 : 비뇨기 카테터 사용빈도와 기간 제한, 정맥 장치의 이동과 전환으로 패혈증 예방

 

 

2) 장티푸스균

 (1) 특징: 장티푸스균은 조건적 무산소성인 그람음성 막대균이며, 대변 배양 3회 음성 될 떄까지 환자를 격리해야함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인체의 결장은 유일한 서식처로는 분변-구강 경로를 통해 감염됨

 

 (3) 병원성  : 내독소(발열원 원인), 협막(Vi 항원)은 독력인자. 위산 중화제의 섭취나 위절제술에 의해 초래된 위산의 감소는 Salmonella 감염 일으킴

  - 편모 항원(H), 균체 항원(O), 협막 항원(Vi)으로 구분 : O항원, H항원(Salmonella의 혈청 구별에 중요한 항원)

  - Salmonella Typhi에 의한 장티푸스에 감염된 사람의 배설물에 의해 오염된 음식아니 물을 섭취함으로써 감염되며, S.Typhi는 소장에 서식하면서 장벽을 통과하여 림프결절, 비장이나 다른 림프조직 등에서 증식함

  - 증상 : 감염 후 6 ~ 14일 안에 두통과 고열로 몇 주간 계속 되며 40 도씨 까지 상승. 장티푸스 균 배설물 내에서 몇 주 동안 증식하나, 3개월 경과하면 증식 중단하며 이 가운데 3 %가 후에 장티푸스로 진행되어 계속 증식하지만, 감염병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보균자 상태가 됨. 장티푸스균은 사람만 기생하므로 보균자를 찾아서 치료시 박멸 가능

 

 (4) 검사실 진단 : 그람음성막대균을 EMB나 MacConkey agar에서 lactose비분해 집락형성

 

* Widal Test: 장티푸스 환자의 혈청에서 O와 H항원에 대한 응집 항체 반응 검사

 

 (5) 치료 : 가장 효과적인 약제는 ceftriaxone

 

 (6) 예방 : 개인위생과 환경위생이 중요. 수질규정의 준수와 음식의 적절한 조리 (4도씨 이하의 온도에서 음식물 내의 증식 억제하고 60도씨 이상에서는 사멸한다.)

 

 

3) 세균성 이질균(Shigella dysenteriae)

(1) 특징 : 조건적 무산소성 그람 음성 막대균으로 lactose를 분해하지 않으며, salmonella와 달리 비운동성, 무아포, 무협막, 세균성 이질균(Shigella dysenteriae)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인체의 결장은 유일한 서식처로 shigella에 대한 동물 보균자는 없으며, 분변-구강경로를 통해 감염

 

(3) 병원성 : 회장과 결장의 점막에 침투하지만 그 이상 침투하지 않으므로 패혈증은 드물고, 세포벽에 내독소가 있으며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균 수는 Salmonella보다 훨씬 적음. 혈액이 섞인 설사를 일으키는 감염병

 

(4) 검사실 진단 : EMB나 MacConkey배지에서 lactose 비분해 집락 형성

 

(5) 치료 : 대부분의 경우 체액과 전해질 교환만이 실시되며 심각할 경우 ampicillin이나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투여

 

(6) 예방 : 오수 처리와 같은 공중 보건 관리, 수돗물의 염소 소독, 음식을 다루는 사람의 분변 배양, 음식을 다루기 전에 손을 깨끗이 씻기.

 

<세균이질의 병원감염 대책>

격리 격리병동에 격리
방호 입실시 가운 착용
소독위생관리 신체 청결 격리병동의 전용 샤워, 투약 후에 목용하며 배변 후 손소독을 철저히 한다.
환자복, 시트류 시트류는 고압 에틸렌옥사이드 가스 별균을 시행한다. 변, 혈액에 오염된 것이나 속옷은 3 % 크레졸 비누액에 담근 후 80 도씨의 미지근한 물에 세탁한다.
식사. 식기 식기는 역성비누에 담근후 자비 소독을한다.
쓰레기 등 소각, 소독 후 폐기한다.
잔반은 오물정화조로 보낸다
배설물 오물정화조에서 오수와 오니로 분리한후 차아염소산 나트륨으로 소독한다.
변기 세정 후 자비소독을 하며 건조한다
병실 병상은 1 % 크레졸액, 뱅상 난간 등은 1 % 역성비누를 사용한다
의료종사자의 손소독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을 씻은 후 종이수건을 사용하여 닦는다. 마찰실 염화벤잘코늄 첨가 에탄올로 소독한다
의료 기기, 용기 가능한한 일회용을 사용한다.
그 밖에는 3 % 크레졸액에 담그거나 포름알데히드가스에 소독한다. 체온계 드은 소독용 에탄올로 닦는다.

 

06. 비브리오과

 1) 콜레라균

 (1) 특징 : Comma 모양의 그람 음성 막대균으로 oxidase 양성(장내세균과의 세균과 구분되는 점)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인체의 결장, 분변-구강 경로로 감염

 

 (3) 병원성: 콜레라는 인도와 동남아시아 지역의 풍토병으로 배설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한뒤 감염

  - 증상: 감염 뒤 2 ~ 5일 후에 감작스런 설사(쌀뜨물 같은 점액 섞인 변)와 복통, 구토 증상이 나타나지만, 발열은 드물고 24시간 동안 15L 정도의 심한 설사로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을 경우 수분과 이온(나트륨, 중탄산염, 칼륨 등) 의 손실 떄문에 치명적임

 

 (4) 검사실진단 : H 및 O항원, 사람의 콜레라 원인이 되는 균은 O1항원으로 혈청형 O1콜레라균 동정-항혈청응집시험

 

 (5) 치료 : 수액과 전해질 보충이 필수적이며 Tetracycline은 감염기간 단축과 보균자를 감소함.

 

 (6) 예방 : 오수 처리와 같은 공중 보건 관리, 수돗물의 염소 소독, 요리사의 분변 배양, 음식을 다루기 전에 손 씻기

 

 

07. 포도당 비발효 그람 음성 막대균

 1) 녹농균

 (1) 특징 : 산소성 그람음성막대균으로 lactose 비발효, 청록색 색소를 생성하기 때문에 녹농균이라고 함. 포도당 비발효 그람음성막대균(glucose nonfermenting gram-negative bacillus,GNFB). Pseudomonas 속 중 가장 많이 분리되며 각종 항생제에 높은 내성을 가짐.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병원의 인공호흡기와 가습기 같은 주위 환경의 물로 약 10 %가 사람의 피부, 상부 호흡기계, 결장에서 서식하며 water aerosol형태로 흡입함. 분변오염을 통해 감염.

 

 (3) 병원성 : 상처 감염, 비뇨기계감염, 폐렴, 패혈증, 특히 화상환자와 낭포성 섬유종이 있는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병원 감염의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 내독소는 패혈증과 관련된 발여과 쇼크를 일으키고, 외독소 A를 생성(디프테리아 독소와 유사한 작용), 섬모는 숙주 세포 표면의 부착, 협막은 탐식작용을 억제하는 독력인자

 

 (4) 치료 : P. aeruginosa는 항생제에 저항성을 강하게 나타내기 때문에 항생제 감수성 시험에 기초하여 선택, gentamycin, amikacin등 특수한 아미노산 항생제의 주사제가 유효

 

 (5) 예방 : 병원에서 물과 관련된 장비의 소독, 손을 깨끗이 씻는 것, 비뇨기계와 정맥 내 카테터의 신속한 제거 등.

 

 

08. 호흡기와 관련된 그람음성 막대균

 1) 인플루엔자균(Haemophilus influenzea)

 (1) 특징 : 작은 그람 음성 막대균(짧은 막대균)으로 type b 협막성균은 polyribitol phosphate 이며 성장을 위해 X factor(hemin)와 V factor(NAD)를 요구하며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가장 주요한 세균이고 4세이하 소아 세균성 수막염이 원인균됨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상부 호흡기계이며 비말 감염

 

 (3) 병원성 : 수막염, 중이염 및 폐렴이 흔하고 다당체 협막은 가장 중요한 독력의 결정 요소로 침입성 감염병의 95 %는 type b에 의해 일어남

  - 수막염의 대부분은 모계의 항체가 감소하고, 면역반응이 불충분한 2세 이하의 어린이에게서 발병하며 외독소는 나타나지 않고 IgA protease를 생성함

 

 (4) 검사실 진단: 그람 염색과 chocolate agar에서 배양되며, 증식하기 위해서 X(내열성)인자와 V(이열성) 인자 모두 요구되며 뇌척수액 항혈청과 협막팽창시험에서 양성이면 H.Influenzae로 확진.

 

 (5) 치료 : Ceftriaxone은 수막염의 선택 치료제

 

 (6) 예방 : 환자와 가까이 접촉한 사람에게 Rifampin을 투여함으로써 수막염을 예방함.

 - Diphteheria toxoid나 다른 단백질과 결합된 type b 협막성 다당체를 포함한 백신(Hib)은 2 ~ 18 개월 사이의 유아에게 투여 

 

 

2) 백일해 균(Bordetella pertussis)

 (1) 특징 : 백일해균은 작은 그람 음성 짧은 막대균, 경련성 기침, 기관지염을 함께하는 것이 특징임.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인체의 호흡기계로 비말 감염

 

 (3) 병원성 및 진단: 백일해는 다른 사람으로 부터 감염되어 인후에서 증식하는 산소성 세균인 Bordetella pertussis에 의해서 발생함

  - 증상 : 7 ~ 16일의 잠복기 후에 감기와 비슷한 증상 시작 후 7 ~ 14일 동안은 심한 기침과 발작으로 발전하여 의약품에 의한 치료로 백일해의 사망률은 4 %에서 약 0.6 %로 떨어짐

 - 병원성 : adenylate cyclase는 탐식세포에 의해 사멸되는 것을 억제하고 섬모의 혈액 응고 단백은 호흡기계의 섬모상피에 부착함

 

(4) 예방: 사멸된 세균을 포함한 백신은 3회 면역백신(DPT)의 복합체를 어린이이게 투여함

 

 

09. 동물에서 감염되는 그람음성막대균

 1) 브루셀라 종(Brucella sapces : B.abortus, B. suis, B. melitensis) 

  (1) 특징 : 작은 그람 음성 막대균, 브루셀라증(Brucellosis)은 브루셀라균에 의한 감염으로 인수 공통질환.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서식처는 가축이며 살균 되지 않은 우유와 치즈 또는 감염된 동물의 직접 접촉에 의해 감염

 

  (3) 병원성 :  브루셀라증은 가축을 감염시키는 Brucella 종에 의해 일어나며 B.suis에 의해 감염된 돼지나 B.abortus(소유산균)에 의해 감염된 소가 주된 보균소로 이들로부터 흡입, 직접적인 접촉, 오염된 고기나 낙농산물을 먹거나 마시는 것 등에 의해 감염되며, B.MElitensis(파상열균)은 가장 강력함

 - 며칠 혹은 몇 주의 잠복기 후에 발열, 두통과 관절통이 시작되며 치료하지 않아도 대부분 증상이 소실되고 몇 주후에는 회복됨

 

  (4) 치료 : Tetracycline

 

  (5) 예방 : 우유의 살균, 소의 예방접종

 

 

10. 무산소성 세균

 1) 파상풍균(Clostridium tetani)

  (1) 특징 : 파상풍균은 무산소성이며 그람 양성 막대균, 아포 형성, 주모성 편모로 운동성이 있음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서식처는 토양이 얕은 피부의 외상을 통해 일어남

 

  (3) 병원성 : 아포는 상처의 무산소 조건하에서 발아하여 세균은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차단하는 신경외독소 생산. 독소에 노출된 신경원은 전도 이상이 생겨 극도의 근육 경련을 일으킴

 

  (4) 치료 : 독소를 중화하는 과면역 인체 글로불린이 사용되며 penicillin G와 경련진정제도 사용함

 

  (5) 예방 : Tetanus toxoid백신은 diphteria toxoid와 pertussis vaccine (DPT) 복합제로 조제되어 어린이에게 투약함

 

 

 2) 보툴리누스균(Clostridium botulinum)

 (1) 특징 : 무산소성이며, 아포를 형성하는 그람양성 막대균으로 주모성 편모로 운동성이 있음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서식처는 토양이며, 세균과 독소는 부적당하게 저장된 식품에 오염됨

 

 (3) 병원성 : 외독소는 근신경 접합부에서 acetylcholine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이완성 마비를 일으킴. 아포는 무산소 환경에서 형성하여 독소를 생성하며 이열성이므로 충분하게 가열되지 않은 음식을 통해 발증할 수 있음

 

 (4) 검사실 진단 : 환자의 혈청이나 대변 또는 음식에 독소가 존재함

  

 (5) 치료 : 말에서 얻은 type A. B. E.에 대한 항독소 주사

 

 (6) 예방 : 적절한 음식 보관과 캔 등으로 포장된 음식의 요리시 가열 및 오염된 캔의 폐기 등

 

 

3) 가스 괴저균

 (1) 특징 : 무산소성, 아포형성 그람 양성 막대균, 비운동성, 협막 존재

 

 (2) 서식치와 감염 경로 : 토양과 인체 결장으로 오염된 토양이나 분변으로 부터 상처가 감염되면 근육괴사가 초래되고 식중독은 오염된 음식물의 섭취로 감염됨

 

 (3) 병원성 : 상처감염의 가스괴저는 무산소적 조건하에서 아포 발아와 특히 세포벽을 파괴하는 몇몇 세균독성인자의 생성에 의해 일어남. 식중독은 장 내에서 장독소의 생성 때문임.

 

 (4) 치료 : Penicillin G 투여와 가스괴저가 있는 감염된 상처부위 절개술 실시

 

 (5) 예방 : 상처의 광범위한 절개수술과 penicillin의 투여는 가스괴저의 발병 가능성을 낮춤

 

<사람의 감염병과 관련된 clostridium속의 병원성>

균종 중요 감염병
C.pertringens 균혈증, 근괴사, 연성조직 감염, 장염, 식중독
C. tetani 파상풍
C. botulinum 식품 보툴리눔, 유아 보툴리눔, 항생제 보툴리눔
C. difficile 항생제와 관련된 설사, 위막성 대장염
기타 Clostridium species(예 : C. septicum, C.ramosum, C.novyi, C. bifermentans) 균혈증, 근괴사, 연성조직 감염

 

 

11. 나선 막대균

 1) 매독균(Treponema pallidum)

 (1) 특징 : 나선균이며 그람염색에서 관찰되지 않고, 실험적으로 인공배지에서 배양 불가

  - 1기 매독 -> 경성하감(굳은 궤양) 2기 매독 -> 전신 발진, 편평콘딜로마, 3기 매독 -> 고무종, 신경매독(마비성 치매, 경련, 시신경 위축 등)

 

 (2) 서식처와 감염 경로 : 인체의 생식기계이며, 성 접촉과 태반을 통해 모체에서 태아감염

 

 (3) 병원성 : 세균은 감염 부위에서 증식하고 후에 혈류를 통해 전파됨

  - 제1기 병소와 제2기 병소는 자연 치유, 제3기 병소는 고무종, 대동맥염 또는 중추신경계 염증 등

 

 (4) 검사실진단 : 암시야 현미경이나 형광항체검사에 의해 관찰

 - VDRL(또는 RPR)은 감별검사에 사용되는 비매독균 항원검사, 형광항체검사는 널리 사용되는 매독균 검사로 며독균을 항원으로 하여 특이적인 항매독균 항체를 검출한다.

 

 (5) 치료 : 제1기와 제2기 매독에는 penicillin이 사용되며, penicillin에 대한 저항성은 없음

 

 (6) 예방 : 환자와 접촉시에 penicillin 사용

 

 

12. 기타

 1) 클라미디아(Chlamydia)

 (1) 트리코모나스균(Chlamydia trachomatis)

   - 특징 : 그람염색에서는 관찰되지 않으며 세균대사 에너지 생성기전이 결핍되어 ATP를 합성할 수 없는 절대 세포내 기생세균, 비임균성 요도염의 대부분 클라미디아에 감염됨(성매개질환).

   - 서식처와 감염경로 : 인체의 생식기계와 눈이며 성 접촉이나 출산에 의해 전염되며 트라코마의 전염은 손과 눈의 첩촉에 의해 발생함

  - 병원성 : 비임균성 요도염, 골반염, 봉입체 결막염, 서폐부 림프 육아종, 유아(폐렴)

  * 감염증 : 남성(요도염, 부고환염), 여성(자궁경관염, 자궁암), 불임 원인 성병임

  - 검사실진단 : Giemsa 염색과 형광항체 염색에서 세포질의 함유물이 관찰. 진단은 보체 결합 반응시험이나 면역형광시험법 등의 혈청학적 시험

  - 치료 : Doxycyline이나 eryrhromycin

  - 예방 : 감염된 모체로 부터 신생아 눈 감염병 예방을 위해 erythromycin이 효과적임

 

 2) 리케차 균(Rickettsia rickettsii)

 (1) 특징 :  절대 세포내 기생세균으로 염색표본에서 광학현미경으로 관찰되지 않음. proteus vulgaris의 OX항원과 응집반응, 바이러스와 세균의 중간 크기로 살아있는 세포내에서만 증식이 가능

 

 (2) 서식처와 감염경로 : 진드기는 자연 보유 숙주이며, 진드기에게 물림으로써 감염됨

 

 (3) 병원성 : 록키산열과 맥관염을 일으키며, 모세혈관의 내피세포에 침투, 발진티푸스, 쯔쯔가무시가 대표적임

 

 (4) 검사실진단 : 진단은 보체결합 반응이나 Weil-Felis test

 

 (5) 치료 : Tetracycline

 

 (6) 예방 : 보호 의복을 착용하고 진드기 제거

 

<용어설명>

- 혐기성균(무산소성균) : 산소가 없는 환경하에서만 증식할 수 있는 세균이다. 그람양성 막대균인 클로스트리디움속, 그람 음성 막대균인 박테로이 데스속, 그람 음성 알균인 베일로넬라 속 등이 알려져 있다.

- 고초균(Bacillus subtilis) : 부패균(saprophyte)으로 토양 등에 널리 분포한다. 비병원성이지만 드물게 기회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 불활성화백신 : 사백신이라고도 불린다. 좁은 의미의 불활성화백신은 화학처리등을 하여 죽은 바이러스, 세균, 리케치아를 사용한다.

 - 이염색소체 : 염기성 아닐린이나 톨루이딘블루 등의 염기성 색소로 조직이나 세포를 염색했을 때 염색부분이 색소용액과 다른 색상으로 염색되는 현생을 이염성이라 하며, 이염성으로 염색되는 물체를 이염색소체라고 한다.